선교대회 기간 중 모든 시간대에 Child Care가 준비됩니다. Child Care가 필요한 분들은 등록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책임자: (5-11세) Young 목사
책임자: (0-4세) 최남선 전도사

문의전화: (650) 533-0489
문의 E-mail: missionca15@gmail.com
  • 이슬람의 변화와 선교적 기회 - 이현모 교수 [세미나]
  • MissionCA
    조회 수: 77263, 2012.07.19 06:33:36
  • 이슬람의 변화와 선교적 기회
    최근 이슬람의 변화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지만 이슬람 선교에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다. 이 기회를 붙잡기 위해서 20세기 이후의 이슬람의 확장과 변화 상황을 이해하고 이 가운데 한국 선교사들에게 주어지는 기회를 찾고자 한다.


    이현모 교수

    선교학 Ph.D.후 20년째 대전 침례신학대학원 선교학 교수로, 10년 동안 한국침례교회의 선교사 훈련 책임을 맡았었고 여러 선교 현장을 방문해서 선교사역을 섬기고 있다. 선교한국, KOSTA 등의 강사로 섬겼다. 현대 선교학외 저서 다수.
     
     

    북가주 세계선교 대회 2012

    8월 17일 주제특강 1

    제목 : 이슬람의 변화와 선교적 기회

    긍최근 이슬람의 변화는 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지만 이슬람 선교에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다.

    이슬람의 현황

    흔히 우리는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다음과 같은 이미지이다.

    1) 이슬람은 중동을 중심으로 한 종교이다.

    중동이 이슬람의 본거지이기는 하지만 중동은 전 세계 무슬림의 1/6 이하가 산다.

    아시아에 전 세계 무슬림의 절반 이상이 산다.

    오히려 중동 인구의 10% 이상이 기독교인이다.

    2) 이슬람은 아랍인들의 종교이다.

    오늘날은 비(非)아랍계 무슬림들이 더 많다. 아랍인이란 아랍어를 중심으로 하는

    언어적 구분이다. 정통은 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어를 하는 무슬림을 지칭한다.

    3) 무슬림은 한손에는 칼 한손에는 코란을 가지고 세계를 무력 정복했다.

    의외로 역사를 보면 절충과 합의를 통한 평화공존을 모색하는 종교였다. 대부분 타종교를 허용하고 타종교인이 인두세를 낼 경우 오히려 이를 환영하였었다.

    4) 무슬림들은 역사상 가장 호전적인 종교인들이다.

    역사적 충돌 사건을 보면 침략자는 대부분 서방측이었다.

    이슬람이 기독교의 가장 큰 대적이 되는 이유

    1)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종교이다.

    2) 기독교 이외에 세계 선교를 꿈꾸는 유일한 종교이다.

    이슬람의 성장

    이슬람 스스로는 전 세계 무슬림이 16억이라고 주장

    2010년 중반 15억 5000만 추정 (전 세계 인구의 22%)

    20세기에 이슬람은 급성장 하였다.

    20세기에 594% 성장하였다 (세계 인구 성장은 376%)

    이중 중반기 50년에 400% 성장했다는 주장도 있다.

    2025년에는 세계 인구의 33%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1900년 기독교 34.4%이슬람12%

    2000년 기독교 33.1%이슬람 21%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197019902000

    유럽 720만1300만3700만

    (EU) (426만)(752만) (1800만 2008년)

    구소련3400만5300만

    아시아4억2600만7억5000만

    세계15%20%

    프랑스는 590만의 무슬림이 있어서 10%를 넘는다.

    전 세계 무슬림 분포

    아시아56%

    중동/북아프리카 25%

    아프리카12%

    유럽/러시아권 6.5%

    미주 0.5%(미국에 1,000만 명)

    아프리카에서 기독교가 주요종교인 국가는 31개국

    이슬람이 주요종교인 국가는 23개국

    아시아(48개국 중)에서 기독교가 주요종교인 국가는 3개국

    이슬람이 주요종교인 국가는 26개국

    이슬람은 오늘날 전 세계 50개국의 주요 종교이다.

    2000년 중반 기준으로

    12억 7900만 중 수니파 10억 2540만 (80.2%)

    시아파 1억 7010만 (13.3%)

    수피즘 2억 3740만 (18.6%) (중복 가능)

    이슬람의 성장 요인

    1) 급속한 인구 증가 - 이슬람 성장의 96%는 무슬림 가정의 높은 출산율 때문이다.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2000)

    매년 95만 명이 기독교 등 타종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다.

    그러나 매년 2,700만 명이 타종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다.

    즉 기독교는 개종이 많고 이슬람은 자연 증가가 높다.

    2) 열성과 실천적 신앙 - 무슬림은 자신들의 종교적 계율이 현실과 맞느냐 맞지 않느냐에 상관없이 철저히 따르고 있다.

    3) 오일 달러로 인한 경제성장

    제3국에 투자해서 교세확장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슬람 국가들로 결성된 “77개국 경제 그룹”과 “이슬람 경제 협력기구 EOC"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4) 오늘날 교회가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으로 힘을 잃고 있다.

    랄프 윈터 - 극심한 소홀 (유럽)

    이슬람의 세계 선교

    이런 지리적 팽창은 우연히 생긴 것이 아니라 의도적인 것이었다.

    1930년대 부정적 예측 - 이슬람은 현대 문명과 어울릴 수 없는 종교로 금세기 말에 가면 소수 종교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너무 단순한 “승리주의적” 생각이었다.

    60년대까지만 해도 이런 예언이 맞는 듯했다. 친 서방, 세속화된 이슬람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이슬람은 약화되는 듯했다. 선교도 이런 흐름을 잘 탔다.

    그러나 점차 친서구적 세속화 이슬람이 무슬림들에게 실망이 되고 배척을 받게 된다. 특히 부를 축적한 친서구적 정치세력의 부패도 결정적으로 부정적 역할을 했다. 그러자 원리주의적 이슬람에 대한 기대가 커지게 되었다.

    1970년대 이슬람의 르네상스

    1973년 중동 전쟁 이후 국제 원유가가 급상승하게 되었다.

    오일 쇼크를 거치면서 중동은 큰돈을 벌게 되었다. 새로운 유전 투자와 개발,

    유가 상승으로 7년 만에 투자비를 제외하고 잉여자금으로 3500억 달러를 벌게 되었다. 중동 산유국들은 이 잉여자금의 20%를 이슬람 선교에 투자하게 된다.

    20%는 초기 이슬람 시대에 전리품의 20%를 선지자에게 주었던 전통에서 유래

    이때부터 의도적인 세계 선교를 꿈꾸게 된다. 세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진다.

    1) 회교를 타종교로부터 방어 - 선교사 입국 거부, 선교사 추방, 기독교 선교

    금지령

    2) 회교국가의 개혁 - 샤리아 법령 도입 강화, 서구적 제도에 대한 반대

    3) 회교의 세계 선교 - 외국 노동자를 통한 선교, 회교 선교사 파송,

    교사들의 활동, 산아 제한 없는 자녀 생산

    1974년 이집트 대통령의 자문이던 싸이드 하산 무함마드는

    세계 무슬림 공동체를 강화시키기 위한 3개 목표를 제시했다.

    1) 모든 나라에 이슬람 지부를 설치

    2) 디아스포라 무슬림 신학대학 설치

    3) 전 아프리카를 이슬람 대륙화한다

    1976년 런던 이슬람 국제회의 - 런던만 장악하면 서방 세계를 장악할 수 있다.

    이로부터 10년 만에 런던에 400개의 모스크가 건립되었다.

    영국 전체로는 1,800개의 모스크와 3,000개의 코란 학교가 생겼다.

    이들의 선교 목표는 이슬람화이다.

    선교의 개념이 단순히 신앙고백을 얻어내는 것이 아니라 모든 면, 정치, 문화까지

    도 선교의 대상이다. 이는 이슬람 종교의 정치적 특성 때문이다.

    이들은 “선교한다.”라는 요란한 선전 없이 조용히 아랍어 교육으로 시작해서 점차

    이슬람 제국 건설까지를 목표로 한다. 즉 이슬람의 목표는 모든 면에 침투해서

    이슬람화 해가는 것이다.

    1979년 이란의 회교혁명 - 근본주의 이슬람의 급성장 계기가 된다.

    강성 원리주의가 득세하게 되는 시작이 된다.

    이란 회교 혁명을 기치로 해서 점차 이라크, 리비아에 강성 원리주의 정부가 들어

    서고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전쟁 이후 탈레반이 강성 원리주의 정부로 등장한다.

    정신적 지주는 와하비즘의 수장인 사우디아라비아였다.

    패트릭 죤스톤 - 강성 근본주의 이슬람은 정치적 세력을 얻고 테러를 통해 전 세계적으

    로 대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능력도 갖게 되었지만 점차 이런 형태의 이슬람은

    일반 무슬림들의 신뢰를 잃어 가게 되었다.

    2001년 - 9.11 사태는 강성 원리주의의 최정점을 이룬다.

    이후로 오사마 빈 라덴의 기대와는 달리 원리주의 이슬람을 합법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빌미를 서방측에 제공하면서 원리 주의 정부들이 내리막을 걷게 된다.

    어쩌면 근본주의 이슬람의 붕괴가 시작되었는지도 모른다.

    재스민 혁명 (2010년 말 - 2012)

    재스민 혁명은 이슬람 근본주의의 부흥을 가져오지 않을까라는 염려가 컸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을 보면 세속적 요인이 종교적 요인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에 근본주의로의 회귀는 일어나지 않을 듯핟. 다만 근본주의의 위축 속도는 느려질 것이다.

    새로운 기회

    자유주의적 이슬람, 부드러운 이슬람은 서구 문명과 외부 세계에 대한 접촉면을 늘려줌으로 이슬람 선교에 한 번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기회의 최대 수혜자는 비서구 선교사들일 것이다.

    이슬람의 동향

    1. 이슬람 진자(振子)(Islamic pendulum)의 이동

    20세기 동안에 대략 한 세대를 기준으로 이슬람 진자가 한 극(極)에서 다른 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지금 이런 전환의 시기가 다시 시작되는 것 같다.

    1950-70년대 초반 - 세속화/민족주의 이슬람

    1970년대 후반 - 2005 - 원리주의

    2005년 이후 - 온순한 이슬람(?), 이 말 자체는 모순이다. 그러나 이런 양상을 보일 것

    2. 세계화의 영향

    세계화는 세계 문화와 경제, 사회 조직이 긍정과 부정적 영향을 강하게 주고 있다. 그러나 아랍권에서의 기독교 선교에는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3. 석유 자원의 한계가 가까워 온다.

    최소한 중동에서는 이 영향이 커질 것이고 석유 자원의 중심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아랍이 버틸 수 있는 유일한 영향력에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

    4. 이슬람 신학도 사실 어느 정도 세계의 변화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전과 같은 고립적, 비이성적, 유아독존적 꾸란 이해에 한계가 올 수 있다.

    이슬람 선교의 기회

    1. 종교 신학적 변화

    승리주의(triumphalism)로 부터의 탈피

    낙타 전도법의 활용

    2. 상황화의 발전 - 내부자 운동 (Insider Movement)

    최근 티모디 테넌트와 케빈 히긴스 간의 논쟁은 좋은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참조 ) International Journal of Frontier Missions (IJFM)

    비서구적, 비전통적 교회의 개념을 연구하게 된다.

    3. 2/3 세계 출신 선교사들의 부상(浮上)

    단점보다는 장점을 중심으로 새로운 접근 전략을 세워야 한다.

    4. 민속 무슬림에 대한 이해의 증진

    전통적으로 이슬람을 꾸란과 전통에 기초한 “형식적 종교” 혹은 “행위 종교”로 간주. 그러나 이런 접근이 부적절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엮인글 0 http://www.missionca.org/mca2012subjectdata/316/fc3/trackback

댓글 0 ...

http://www.missionca.org/316
번호
분류
제목
16 세미나 248161 2012.07.19
15 세미나 27129 2012.07.19
14 세미나 2163 2012.07.19
13 선택강의 14273 2012.07.19
12 선택강의 16607 2012.07.19
11 선택강의 2223 2012.07.19
10 선택강의 43233 2012.07.19
9 선택강의 3297 2012.07.19
8 세미나 2531 2012.07.19
7 세미나 2159 2012.07.19
6 세미나 42679 2012.07.19
5 세미나 50738 2012.07.19
4 세미나 156139 2012.07.19
3 세미나 201817 2012.07.19
세미나 77263 2012.07.19
1 선택강의 1305 2014.07.18
태그
2015 Mission Californi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