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ssion Exposure 세미나 이슬람의 변화와 선교적 기회 최근
이슬람의 변화는 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지만 이슬람 선교에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다. 이슬람의 현황 흔히 우리는 이슬람과 무슬림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다음과 같은 이미지이다. 1) 이슬람은 중동을 중심으로 한 종교이다. 중동이 이슬람의 본거지이기는
하지만 중동은 전 세계 무슬림의 1/6 이하가 산다. 아시아에 전 세계 무슬림의
절반 이상이 산다. 오히려 중동 인구의 10% 이상이 기독교인이다. 2) 이슬람은 아랍인들의 종교이다. 오늘날은 비(非)아랍계 무슬림들이 더 많다. 아랍인이란
아랍어를 중심으로 하는 언어적 구분이다. 정통은 아라비아 반도의 아랍어를 하는 무슬림을 지칭한다. 3) 무슬림은 한손에는 칼 한손에는 코란을 가지고 세계를 무력 정복했다. 의외로 역사를 보면 절충과
합의를 통한 평화공존을 모색하는 종교였다. 대부분 타 종교를 허용하고 타종교인이 인두세를
낼 경우 오히려 이를 환영하였었다. 4) 무슬림들은 역사상 가장 호전적인 종교인들이다. 역사적 충돌 사건을 보면
침략자는 대부분 서방측이었다. 이슬람이 기독교의 가장 큰 대적이 되는 이유 1) 가장 빨리 성장하고
있는 종교이다. 2) 기독교 이외에 세계
선교를 꿈꾸는 유일한 종교이다. 이슬람의 성장 2014년 중반 16억
6000만 추정 (전 세계 인구의 23,3%) 이중 중반기 50년에 400% 성장했다는 주장도 있다. 2025년에는 세계
인구의 33%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1900년 기독교 34.4% 이슬람 12% 2000년 기독교 33.1% 이슬람 21%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1970 1990 2000 유럽 720만 1300만 3700만 (EU) (426만) (752만) (1800만 2008년) 구소련 3400만 5300만 아시아 4억2600만 7억5000만 세계 15% 20% 프랑스는 590만의 무슬림이 있어서 10%를 넘는다. 전 세계 무슬림 분포 중동/북아프리카 25% 아프리카 12% 유럽/러시아권
6.5% 미주 0.5% (미국에
1,000만 명) 아프리카에서 기독교가
주요종교인 국가는 31개국 이슬람이 주요종교인 국가는 23개국 아시아(48개국 중)에서 기독교가 주요종교인 국가는 3개국 이슬람이 주요종교인 국가는 26개국 이슬람은 오늘날 전
세계 50개국의 주요 종교이다. 2014년 중반 기준으로 시아파 1억
7010만 (13.3%) 수피즘 2억
3740만 (18.6%) (중복
가능) 이슬람의
성장 요인 1) 급속한 인구 증가 - 이슬람 성장의 96%는 무슬림 가정의 높은 출산율 때문이다.
World Christian
Encyclopedia (2000) 매년 95만 명이 기독교 등 타종교에서 이슬람으로 개종한다. 그러나 매년 2,700만 명이 타종교에서 기독교로 개종한다. 즉 기독교는 개종이
많고 이슬람은 자연 증가가 높다. 3) 오일 달러로 인한 경제성장 제3국에 투자해서 교세확장을 부채질하고 있다. 이슬람 국가들로 결성된
“77개국 경제 그룹”과 “이슬람 경제
협력기구 EOC" 등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4) 오늘날 교회가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으로 힘을 잃고 있다. 랄프 윈터 - 극심한 소홀 (유럽) 이슬람의
동향 1. 이슬람 진자(振子)(Islamic pendulum)의 이동 20세기 동안에 대략 한 세대를 기준으로 이슬람 진자가 한 극(極)에서 다른 극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지금 이런 전환의 시기가
다시 시작되는 것 같다. 1950-70년대 초반 - 세속화/민족주의 이슬람 1970년대 후반 - 2005 - 원리주의 2005년 이후 - 제스민 혁명이 변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liberal Islam 으로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2.
세계화의 영향 세계화는 세계 문화와 경제, 사회 조직이 긍정과 부정적 영향을 강하게 주고 있다. 그러나 아랍권에서의 기독교 선교에는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3.
석유 자원의 한계가 가까워 온다. 최소한 중동에서는 이 영향이 커질 것이고 석유 자원의 중심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아랍이
버틸 수 있는 유일한 영향력에 변화가 불가피할 수 있다. 4.
이슬람 신학도 사실 어느 정도 세계의 변화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전과 같은 고립적, 비이성적, 유아독존적
꾸란 이해에 한계가 올 수 있다. 이슬람 선교의 기회 1. 종교 신학적 변화 승리주의(triumphalism)로 부터의 탈피 낙타 전도법의 활용 2. 상황화의 발전 - 내부자 운동 (Insider
Movement) 최근 티모디 테넌트와 케빈 히긴스 간의 논쟁은 좋은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 참조 ) International Journal of Frontier Missions
(IJFM) 비서구적, 비전통적 교회의 개념을 연구하게 된다. 3.
2/3 세계 출신 선교사들의 부상(浮上) 단점보다는 장점을 중심으로 새로운
접근 전략을 세워야 한다. 4. 민속 무슬림에 대한 이해의 증진 전통적으로 이슬람을 꾸란과 전통에 기초한 “형식적
종교” 혹은 “행위 종교”로간주. 그러나 이런 접근이 부적절함을 이해하게 되었다.
번호
|
분류
|
제목
| ||
---|---|---|---|---|
14 | 자유게시판 | 2089 | 2015.12.13 | |
13 | 공지사항 | 2258 | 2014.08.13 | |
√ | 공지사항 | 2708 | 2014.08.11 | |
11 | 공지사항 | 2846 | 2014.08.03 | |
10 | 공지사항 | 3149 | 2012.06.17 | |
9 | 공지사항 | 3962 | 2014.07.09 | |
8 | 공지사항 | 4028 | 2012.08.16 | |
7 | 공지사항 | 4178 | 2012.08.16 | |
6 | QnA |
강의 녹음/녹화
.8
| 4803 | 2012.08.20 |
5 | 공지사항 |
미션 익스포저 소개
![]() | 4929 | 2014.07.10 |
4 | 공지사항 | 6277 | 2012.07.19 | |
3 | 공지사항 | 6856 | 2012.08.16 | |
2 | 공지사항 | 14087 | 2015.12.13 | |
1 | 공지사항 | 22710 | 2012.06.11 |